일 | 월 | 화 | 수 | 목 | 금 | 토 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
1 | ||||||
2 | 3 | 4 | 5 | 6 | 7 | 8 |
9 | 10 | 11 | 12 | 13 | 14 | 15 |
16 | 17 | 18 | 19 | 20 | 21 | 22 |
23 | 24 | 25 | 26 | 27 | 28 |
- 성능 베이스캠프
- 우아한테크코스
- chromatic
- react
- 자바스크립트
- 우테코
- eslint 자동화
- JavaScript
- css instead of js
- eslint에러 자동fix
- prettier 자동화
- storybook
- 유틸함수
- 클린코드
- 프로젝트
- webpack
- 크로마틱
- 이슈번호자동화
- IDL attributes
- git hooks
- 프로젝트 카페인
- 클로저
- Husky
- CSS
- importOrder
- string-width
- 카페인
- 협업
- vscode
- import정리
- Today
- Total
목록webpack (2)
FEB:)DAIN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byuzjW/btsryrCWcgP/KO1MQcxLvwCT57s1uEOrr1/img.png)
1. public 폴더 안에 favicon.ico (파비콘 파일) 넣기 ❗만약 svg 파일을 ico 파일로 바꾸고 싶다면 https://convertio.co/kr/svg-ico/ 여기서 무료로 바꿀 수 있다. // index.html 2. index.html 파일 헤드 태그 안에 link 태그로 파비콘 넣기 (생략 가능) // webpack.config.js new HtmlWebpackPlugin({ template: './public/index.html', hash: true, favicon: './public/favicon.ico', }), 3. webpack.config.js에 위 코드 추가 이렇게 하면 정상적으로 파비콘이 뜨는 걸 볼 수가 있다!
![](http://i1.daumcdn.net/thumb/C150x150/?fname=https://blog.kakaocdn.net/dn/NVSS3/btsoTlObp5j/tV4RDfyKUCoyfYue8GgKY0/img.png)
Failed to execute 'createElement' on ... 오류가 났을 때, 아래의 순서대로 진행하면 된다. 1. @svgr/webpack 설치 yarn add -D @svgr/webpack // or npm install --save-dev @svgr/webpack 2. d.ts 파일에 코드 추가 원래 d.ts 파일에 `declare module '*svg' 만 있었는데 아래 코드를 추가해 주었다. // assets.d.ts declare module '*.svg' { import React = require('react'); export const ReactComponent: React.FunctionComponent; const src: string; export default src..